Surprise Me!

[앵커pick] 아직도 '재활용 후진국' / YTN

2019-04-22 0 Dailymotion

오늘 아침 신문에서 앵커가 직접 고른 뉴스, 앵커픽입니다. <br /> <br />1. 한국일보 <br /> <br />요즘 커피전문점에서 일회용컵과 빨대 사용을 금지하고 대형마트에서는 1회용 비닐 사용을 제한하는 등 폐기물 줄이기 노력이 이어지고 있죠? 1년 전, 재활용 업체들이 폐비닐 수거를 거부하며 폐비닐 대란까지 벌어졌었는데 지금은 좀 나아졌을까요? 한국일보 보시죠. <br /> <br />하루 평균 가정에서 배출되는 플라스틱 폐기물은 2017년 기준 4,600톤이 넘습니다. 하지만 이 가운데 천 톤 정도만 분리배출되고 있는데 재활용업체들이 체감할 정도로 폐기물 양이 줄어들지는 않았다고 합니다. <br /> <br />게다가 여전히 반입량의 30%는 재활용이 불가능한 상태인데요, 음식물이나 일반폐기물인 기저귀가 재활용품과 뒤섞여 선별작업에 더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. 음식물이 묻은 용기는 최소 한 번만이라도 헹궈서 버리면 재활용률이 높아진다고 하니까 오늘부터라도 실천해보시면 어떨까요? <br /> <br />2. 서울신문 <br /> <br />매일 2.7명, 한 해 천여 명의 10대 노동자가 일터에서 다친다고 합니다. 10대가 공부해야지 무슨 아르바이트냐, 자리 주는 것만으로도 감지덕지 해야지 라는 인식 탓에 청년 노동자들이 착취와 위험으로 내몰리고 있는 겁니다. 좀 더 들여다 살펴볼까요? <br /> <br />최근 3년간 업무 중 사고를 당해 산재 승인을 받은 19세 미만 노동자는 3,025명이었습니다. 그나마 제도를 알아 공식 보상받은 10대 수만 이 정도고 현실에서는 몇 배 많은 청소년들이 일하다 다치고도 제대로 된 보상조차 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. <br /> <br />서울교육청 자료를 보면 서울 시내 중·고교생의 16%가 아르바이트 경험이 있는데 이들 가운데 절반이 넘는 47.8%가 노동 인권을 침해당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습니다. 또 어리다는 이유로 근로계약서조차 쓰지 않거나 임금 체불을 겪는 경우도 많아 노동 인권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는 지적입니다. <br /> <br />3. 한겨레 <br /> <br />우리나라 70살 이상 저학력 노인들은 건강이 허락하는 최대치를 넘어 과도하게 생계형 노동에 종사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한국개발연구원 보고서에 따르면 중졸 이하 고령 남성 가운데 70~74살 연령대는 건강 수준을 넘어설 때까지 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생계 때문에 일을 그만두지 못하지만 이들이 주로 일하는 자리는 임금 수준이 낮고 고용 불안정성이 높다는 분석입니다. <br /> <br />이 때문에 고령자를 대상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190422102541518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